상주/문경: 13.2℃맑음
미세먼지: 좋음

상주시

감나무 급성형 둥근무늬낙엽병 발생 피해 방제 당부

N;

기사입력 13-09-17 17:31 | 최종수정 13-09-17 17:31



감나무 급성형 둥근무늬낙엽병 발생 낙엽 낙과 피해





- 내년 6월 둥근무늬낙엽병, 탄저병 동시 방제약제 철저히 살포해줄 것을 당부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에서는 올 여름 오랜 고온 기간을 지난 후 8월 급격하게 온도가 떨어지는 기상 환경이 조성되어 급성형 둥근무늬낙엽병의 발생으로 감나무의 잎과 과실이 떨어지는 피해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일괄편집_감_둥근.._.JPG


둥근무늬낙엽병 발병은 감 재배지역의 어느 곳이든 발생하는 병으로 해마다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해를 입은 나무는 조기에 잎이 떨어지고 과실이 낙과되거나 연화되며, 낙과되지 않더라도 과실 비대가 불량하고 당도가 떨어진다.





해에 따라서는 발병 후 잎이 붉게 변하기 전에 일시에 낙엽이 지는 급성 피해도 나타난







병원균은 5~7월에 자낭포자 형태로 감나무 잎에 침입해 90~120일의 긴 잠복기간을 거친 후 8월 말 이후 기온이 서늘해지면 발병하여 잎에 둥근무늬 모양의 반점들을 만든다.







만성형 둥근무늬낙엽병은 병반부 안쪽이 적갈색, 주위는 검은색 띠가 나타나며 오래되면 녹색의 띠로 변하며 병반 주위는 붉게 변하는 전형적인 병징을 나타내며 서서히 붉은색으로 번지면서 잎이 떨어진다.





일괄편집_감_둥근무뉘.JPG


병징은 부정형의 갈색 반점이 잎에 발생과 동시에 푸른상태 또는 황화되어 낙엽이 되고 낙과된다. 전형적인 둥근무늬낙엽병보다 빨리 낙엽이 되며 푸른 상태로 낙엽이 되므로 약해로 혼돈하기 쉽다.






현재, 발병된 과원의 농약살포 방제효과는 미비하므로 자낭포자가 날아서 퍼지는 시기인 내년 6월에 예방 위주로 철저히 방제해줘야 한다고 하였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 김세종장장은 무엇보다도 과원 관리가 중요하므로 척박한 과수원, 세력이 약한 나무에는 밑거름을 충분히 시용하고 전염원인 피해 낙엽을 제거해야한고 하였다.






특히, 올해와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내년 포자비산 시기인 6월부터 10일 간격으로 3~4회 둥근무늬낙엽병과 탄저병 약제 살포를 철저히 실시하여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급성형 둥근무늬낙엽병



일괄편집_무늬낙엽.jpg일괄편집_무늬낙엽병.jpg



급성형 둥근무늬낙엽병 피해상황(좌: 이병엽, 우: 피해주, 9월상순)



일괄편집_낙과.jpg일괄편집_낙과상황.jpg



급성형 둥근무늬낙엽병 낙엽, 낙과상황













<저작권자ⓒ 상주로컬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상주문경로컬신문 기자
<저작권자 © 상주문경로컬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